본문 바로가기
요리에 관련된 용어 및 유래 , 식재료 설명

강렬한 한입 그리고 강렬한 시작 위스키

by 후추는후추춧 2020. 8. 14.

 여러분들은 혹시 만화영화 '명탐정 코난'이라고 아시나요? 이 만화영화의 흑막인 '검은 조직'이라는 마피아 집단이 있습니다. 이들은 특이하게도 '검은 조직' 멤버 남성의 경우 증류주인 위스키의 브랜드, 여성의 경우 과실주로 나누고 있다. 여기서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위스키에 관한 것으로 진, 버번, 죠니워커, 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들은 술의 이름이라기 보다 브랜드 네임이라고 합니다. 가까운 동네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접할 수 있습니다. 

 위스키란 곡류 중 대맥(보리의 일종), 옥수수, 호밀, 귀리 등을 발효시킨 후 다시 증류하여 얻어진 증류주를 통칭하는 이름입니다. 위스키는 원산지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첫 번째 스코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 두 번째 미국의 버번과 테네시 위스키, 세 번째 캐나다의 캐나디안 위스키, 마지막으로 일본의 재패니즈 위스키 등으로 구분하여 표기를 합니다. 또한, 만드는 방법에 따라 몰트 위스키, 그레인위스키, 브랜디드 위스키 스트레이트 위스키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1. 위스키의 기원

 

 위스키의 기원은 아이러니하게도 율법에 다라 음주가 금지된 이슬람 세계로부터 시작이 됐습니다. 오랜 옛날로부터 아랍에서는 연금술사들이 알코올을 증류하여 향료와 화장품을 제조 해왔는데요. 그러던 중 십자군 전쟁에 참여했던 카톨릭 수사들에 의해 그 비법이 유럽에 전해져 증류주를 만들게 된 것입니다. 거의 모든 술이 그렇듯 위스키도 초기에는 가톨릭 수사들에 의해 제조 발전되어 왔습니다.

 (1) 아이리쉬 위스키

 아이뤼시 위스키는 십자군 전쟁에서 돌아온 아일랜드 수사들이 고향의 풍부한 보리와 귀리 등의 곡류를 이용하여 증류주를 만들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초창기 그들은 이를 게일어로 생명의 물이란 뜻의 우스게바하 라고 부르기 시작합니다. 이 우스게바하가 스코틀랜드로 전해지면서 음의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18세기 말부터는 오늘날과 같이 위스키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1171년 잉글랜드의 핸리 2세가 아일랜드를 침입했을때 그곳 사람들이 이 우스게바하를 마셨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므로 아일랜드에서 적어도 12세기 이전부터 위스키의 원형을 마셨습니다.

 (2) 스카치 위스키

스카치 위스키 역시 가톨릭 수사들에 의해 제조 발전이 되었습니다. 아일랜드의 위스키가 처음으로 스코틀랜드에 전해진 것은 약 15세기경으로 아일랜드 수사들에 의해서였다고 합니다. 스코틀랜드 위스키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94년 스코틀랜드 채무부 문서에 기록된 "존 코 수도원에 맥아 여덟 꼬투리를 주어 생명의 물을 만들도록 한다."는 것인데요. 이렇게 아일랜드에서 스코틀랜드로 전해진 위스키는 이곳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됩니다.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과 우연에 의해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비로소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띄게 된 위스키는 이처럼 아일랜드에서 탄생하고 스코틀랜드에서 성장을 합니다. 한편 2차 세계대전은 스카치위스키를 전 세계로 널리 알리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이 후 고향에 들어온 미국 병사들이 전쟁 중 즐겼던 스카치 위스키를 미국으로 들여온 이후 위스키는 금세 미국 시장을 석권하기에 이릅니다. 당시 세계의 정치, 경제를 리드하고 있던 미국 시장에 스카치위스키가 널리 보급되자 자연스럽게 전 세계로 퍼지게 된 것입니다.

 (3) 버번과 테네시 위스키

 버번과 테네시 위스키 등의 미국 위스키 역사는 이민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770년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로부터 이주해온 이주민들이 펜실베이니아를 경유해 세난도 계곡에 정착하며 호밀로 위스키를 양조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럼과 치열한 시장 다툼을 하던 위스키는 독립과 함께 미국의 대중 주로 자리 잡고 서부 개척기에는 통화로서의 구실도 하며 급속 한 발전을 거듭해 옵니다.

 

 이후 1920년대부터 14년간 지속된 금주법 시대에 황폐해진 위스키 산업은 금주법이 해제가 된 후 캐나다와 유럽의 주류 회사들이 대거 미국에 진출하면서 거대 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4) 캐나다의 캐나디안 위스키

 캐나다의 캐나디안 위스키가 처음으로 증류된 때는 18세기 후반으로 역시 이민자들에 의해서였다. 초기 캐나디안 위스키는 국내 시장에서 조차 스카치위스키에 눌려 열세를 면치 못하였으나 20세기 초, 미국의 금주법 시행에 따라 대량의 캐나디안 위스키가 미국으로 밀수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룹니다.

2. 위스키 제조

 

 위스키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위스키는 여러 나라에서 오랜 역사를 거쳐 제조되어온 술인 만큼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이한 제조 방법을 보인다. 그러나 위스키가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들은 스코틀랜드의 하이랜더이며, 오늘날에도 스카치위스키가 세계 시장의 60%를 훨씬 상회하는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스카치위스키가 명실 상부 위스키의 대표적인 위치에 놓여있음을 생각할 때 스카치 위스키 제조 방법이 위스키 제조의 기본 틀 이자 표준이 되고 있음은 부인하지 못할 사실입니다.

 (1) 몰트 위스키

 오늘날 스카치위스키라 하면 브랜디드 위스키를 지칭하고 몰트 위스키는 소수의 마니아만을 위한 제품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몰트 위스키는 브랜디드 위스키를 제조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며 각 제품의 특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늘날에도 위스키 제조 공정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은 바로 몰트 위스키 공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몰트 위스키는 맥아, 건조, 매쉬, 발효, 증류, 숙성 블랜딩의 복잡한 과정과 오랜 시간을 거쳐야만 비로소 완성이 됩니다.

 (2) 그레인위스키

 

 그레인위스키는 기본적으로 몰트 위스키를 싸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조 원리는 몰트 위스키와 같지만 우선 비싼 대맥과 함께 싼 기타 곡류(옥수수, 소맥, 귀리, 호밀 등)를 3대 7의 비율로 섞어 사용합니다.

 

 앞에서 설명한 매쉬 과정에서 몰트와 함께 발아되지 않은 기타 곡류를 섞어서 사용합니다. 다음 단식 증류기가 아닌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싼 원료의 이용이 가능하며 단식 증류기가 아홉 달 걸려 할 일을 단 일주일 만에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그레인위스키는 도수가 높고 향이 적으며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물론 가격도 저렴 합니다.

여기까지 위스키에 관한 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