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에 관련된 용어 및 유래 , 식재료 설명

다이어트와 당뇨에 좋은 야콘에 대해서

by 후추는후추춧 2023. 5. 3.

 곧 다가올 여름에 대비해 예전부터 라이징 스타마냥 떠오르던 식품들이 많다. 그중 오늘 소개해드릴 야콘이 있다.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야콘이란 무엇인가, 야콘의 효능과 부작용, 야콘을 먹는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다.

 1. 야콘이란?

 야콘은 남미 대륙의  척추라 불리우는 안데스 산맥의 해발 900~3000m 고지대에서 자라나지만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그리 낯설지 않는 뿌리채소이다. 이유는 웰빙이라는 인기를 등에 업었기 때문인데, 여름에 시원한 강원 대관령 등 고랭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야콘은 잉카제국 이전부터 진귀하고 소중한 음식으로 취급되었다. 안데스 산맥의 원주민에게 야콘은 '땅에서 자라나는 배'로 통한다. 야콘은 과일이 아닌 뿌리 식물로 과일로 오인 하는 사람이 많다 마치 과일 같지만 채소인 딸기처럼 말이다. 이는 야콘 자체에서 달콤하고 시원한 과즙이 나오기 때문이다. 언뜻보면 고구마 처럼 생긴 야콘은 껍질을 깍고 산소에 노출 시키면 사과와 마찬가지로 갈변하게 된다. 이는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이 풍부하기에 일어나는 현상인데 폴리페놀이 산화되어 갈변 현상이 일어난다. 사과와 마찬가지로 식초나 레몬즙을 희석한 물에 살작 담가 놓는다면 갈변을 억제 할 수 있다.  

2. 야콘의 특징 과 효능

 야콘의 생김새를 표현하자면 우리가 먹을 수 있는 뿌리는 고구마와 같으며, 꽃은 감국, 잎과 줄기는 해바라기를 닮았다. 야콘은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인해 단맛이 나는데, 프여타 설탕, 과장, 포도당 등 단순당이 혈당 상승을 급격히 오르게 한다면 프락토올리고당은 오히려 혈당 조절에 이로운 당이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 야콘이 추천되는 이유가 프락토올리고당 때문이다. 폴리페놀, 이눌린, 탄닌, 카테킨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있어 당뇨병 예방에 아주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식이섬유질이 풍부하여 장건강에 효과적이고 포만감이 풍부하여 다이어트 식사 대용으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야콘의 맛은 무, 배,고구마 등 처럼 다양한 맛이 섞여있다. 요리를 할 때 앞서 말했던 무, 배, 고구마, 감자, 우엉 대신 사용이 가능하다. 

 프락토올리고당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이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한 조류인데 체내 흡수가 되지 않고 장 까지 이동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을 흡착, 체외 배출시키는 효능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설탕의 30~50% 수준으로 단 맛을 내지만, 혈당이 급격히 올라가지 않아 해외서는 이미 시럽과 같치 천연 감미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야콘은 화학비료나 농약을 많이 쓰지않고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친환경 농산물로 주목받는 요즘 시기에 걸맞은 큰 장점이라 볼 수 있다.

3. 야콘 먹는방법

 야콘은 생으로 섭취할 경우 고구마 보다 더 아삭아삭한 식감과 수분감을 느낄 수 있는데, 단 맛이 나다보니 샐러드나 초무침, 절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야콘 즙이나 가루를 빵이나 빵 반죽에 넣게 된다면 쫄깃한 식감이 살아나며 달달한 맛가지 더 할 수 있다. 그외에도 김치를 담글때 갈아 넣거나 무 대신 깍두기를 만들때 더 아삭하고 맛이 풍부한 깍두기를 만들 수 있다. 

야콘 스무디

 야콘은 야콘 그 자체로도 단맛이 있어 아침식사 대용으로 다이어트 스무디 만들기에 아주 좋다. 신선한 야콘을 적당한 크기로 설어 믹서기에 넣고 돌리는것으로도 충분 하지만, 케일이나 당근 사과등 다른 재료를 추가해도 좋다. 만약 야콘 분말을 구입하였다면 스무디를 만들 시 야콘 분말 2~3t 정도만 추가하는것으로 야콘 스무디를 만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단백질 파우더를 넣어 야콘 프로틴 스무디를 만들 수 있으니 활용해 보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본다.

야콘 뿌리

 야콘 뿌리는 생으로도 먹을 수 있는데 오이나 당근, 샐러드와 같이 병아리콩으로 만든 후무스에 찍어먹어도 훌륭한 간식거리가 될 수 있다. 그외에도 방울 토마토 반 정도 되는 크기로 썰어 여러 야채와 같이 곁들여 먹는것도 건강에 좋다.

반응형

댓글